학교 적응
청소년 시기는 중요한 가치관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또래 집단에서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이 시기에 상처 받는 일들이 지속된다면 우울증에 취약 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요즘 청소년들은 학업 스트레스와 과도한 경쟁으로 스트레스를 풀 시간이나 활동은 부족합니다.
이런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상태 파악 및 치료는 학교 적응에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증상
- 학교에 가는 게 괴롭고 싫어요.
- 교실에서 머리가 아프고 숨이 잘 안쉬어져요.
- 집에 있을 때나 쉴때는 괜찮아요.
- 사는에 의미가 없고 즐거운게 없어요.
소아청소년 우울증
소아청소년에서의 우울증과 불안장애는
기분저하, 무기력감 증상 보다도 짜증이 늘거나,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변에 알리지 않는 경우도 많기에 가족들 조차도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증상
- 학교에 가기 싫어하고 짜증이 늘었어요.
- 집중이 잘 안되고 무기력해요.
- 밥을 안먹고 잠을 안자요.
- 친구들과 어울리기 싫어해요.
소아청소년 ADHD
소아청소년에서 ADHD 유병률은 약 5~10% 입니다.
ADHD는 집중력 저하, 좌잉행동, 충동조절 어려움이 특징입니다.
소아청소년 시기에 ADHD 증상은 학교 생활, 학업 성적, 성격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증상
- 물건을 자주 잃어 버리고 일정을 깜빡해요.
- 학교나 학원에서 집중을 못해서 지적을 많이 받아요.
- 방 정리하고 계획표 짜는게 힘들어요.
- 가만히 안아 있지 못해요.
틱/ 뚜렛증후군
본인 의지와 상관 없이 자기도 모르게 나타나는
상동적인 동작이나 소리를 반복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초등학교 입학 시기 지나서 많이 나타나며 증상은 악화와 호전을 반복합니다.
틱 증상에 대해서 지적하고 창피를 주는건 증상을 더욱 악화 시키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증상
- 눈 깜빡거림, 얼굴 찡그림, 머리 흔들기
- 헛기침, 킁킁 소리